고무나무재배기술
페이지 정보
작성자 :연변도서관| 작성일 :11-03-17 14:16| 조회 :14,797| 댓글 :0본문
橡皮树栽培技术
고무나무재배기술
고무나무는 인도용나무 인도고무나무라고도 합니다. 뽕나무과이고 용나무속입니다. 원산지는 인도와 말레이시아인데 우리 나라는 일찍부터 종자를 인입해 재배했습니다. 지금은 각지에서 다 재배합니다. 사철푸른 교목이며 그루에는 즙이 있습니다. 자연상태에서 20메터까지 자라는데 관상용을 재배할 땐 키를 2메터이상 키우지 않습니다. 고무나무는 아지를 잘 치고 잎은 엇갈아 나는데 두텁고 빛이 나며 장원형 또는 타원형입니다. 꼭지는 실하고도 짧으며 원주형입니다. 어린 잎은 붉은색 탁엽에 싸여있습니다.
고무나무는 따스하고 습한 기후를 좋아하고 추위를 싫어합니다. 적합한 생장온도는 25-25도입니다. 잎이 크고 윤기가 돌며 사철 푸르기에 화분재배를 할수 있는데 화남지구에서는 밖에 놓아 풍경수나 가로수로 하기도 합니다. 고무나무는 관리가 간단하고 병충해가 잘 발생하지 않기에 많은 사람들이 좋아합니다. 아래에 재배요점을 안내하여드리겠습니다.
1.일상관리
화분통 바꾸기
고무나무는 빨리 자라기에 유묘기에 해마다 화분통을 갈아줘야 합니다. 성년 식물체는 2-3년에 한번 갈아주면서 생장수요에 따라줘야 합니다.고무나무는 비옥하고 성긴 토양에서 잘자라는바 중성 또는 산성토양이 적합합니다. 고무나무의 유묘는 봄에 화분을 갈아주면 좋은데 이때는 기온이 올라가고 고무나무의 새 뿌리가 돋아나기에 화분바꾸기 좋은 계절입니다. 화분을 갈아주기전에 먼저 흙을 준비 합니다.전원토를 가져다가 손으로 흙덩이를 부수어서 보드랍고 잡초도 없게 합니다. 토양에 있는 병균과 벌레알을 죽이자면 흙을 소독해야 합니다. 토양소독은 90%트리크로르폰 800배액과 75%클로로탈로닐 800배액을 흙에 살포하는데 흙을 번지면서 살포하여 약액이 고루 묻게 합니다
소독한후 흙이 더 성겨서 공기가 잘통하게 하려면 4분의 1가량 강모래를 첨가하여 고루게 섞습니다. 흙준비가 다 되면 유묘를 화분통에 옮깁니다. 먼저 원래 화분통을 엎어서 뿌리와 흙을 함께 꺼낸후 손으로 주위의 흙을 떼내고 새뿌리가 돋아나도록 가위로 세근을 베버립니다.다음 화분통에 새흙을 적당히 넣은후 고무나무를 흙덩이째로 화분통에 넣고 새 흙을 보충한후 다지면 됩니다. 흙을 바꾼후 물을 흠뻑 줍니다.
.다 자란 고무나무는 단순히 새 흙만 바꾸어줘서는 생장수요를 만족시킬수 없습니다. 화분통을 갈아줘야지요. 화분통은 보통 가을 바꾸는데 흙덩이째로 꺼낸후 뿌리의 흙을 털고는 가위로 두리의 세근을 몽땅 자릅니다. 원래 화분통보다 1호 더큰것으로 바꾸고 먼저 흙을 좀 넣은후 고무나무를 중간에 놓고 흙을 채우고는 다져주면 됩니다. 연후에 물을 많이 주고는 그늘에 둡니다.
물주기
고무나무는 습한것을 좋아하고 가뭄에 견디지 못합니다. 너무 가물면 잎이 누렇게 되며 너무 습하면 뿌리가 썩으면서 잎도 누렇게 됩니다. 때문에 물을 줌에 있어서 화분흙이 축축하고 공기습도를 보장하는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봄가을은 날씨가 건조하지만 습도가 높고 고무나무의 물수요도 높지 않습니다. 이 시기엔 주로 잎에 분무하는데 이러면 공기습도를 높이면서도 물이 고이지 않고 화분흙이 습윤해집니다.여름철이면 날씨가 더워지면서 고무나무도 왕성기에 들어서는데 이때면 증발량이 많아 물수요가 늘어나므로 물을 충족히 주어야 합니다. 날마다 물을 주되 화분통에 물이 고이지 말아야 뿌리가 썩지 않습니다.
고무나무는 생장에 알맞는 온도가 섭씨 20--30도이므로 여름철에 기온이 높으면 식물체와 화분에 물을 주는외 화분주위의 지면에도 물을 뿌려 환경온도를 낮추어야 합니다. 서늘한 가을날씨에는 물량을 적당히 낮추어 공기와 화분흙의 습윤을 보장하면 됩니다. 물을 줄 때 적게 자주 주면 좋은데 날마다 고무나무식물체에 한번 분무하면 됩니다. 이러면 공기환경습도를 높이고 뿌리가 썩는 현상을 막을수 있습니다. 화북지구는 겨울날씨가 춥기에 비닐하우스에서 길러야 하며 밤에 최저기온이 0도이하면 하우스에 나래를 덮고 난방스팀으로 온도를 올려 고무나무가 수요하는 온도를 보장해야 합니다.
시 비
고무나무는 생장이 빨라서 생장기 특히는 여름철에 비료수요가 큽니다. 하기에 생장기에 자주 시비를 해야 합니다. 10배 부식기울에 물비료 혼합당량 500배 린산칼륨액을 주는데 시비차수는 봄가을에는 20일에 한번,여름에는 보름에 한번씩 주면 됩니다.
제초
생장기에 화분통에서 잡초가 자라는데 잡초는 고무나무와 양분을 쟁탈할뿐더러 병충해를 유발할수 있으므로 제때에 잡초를 뽑아버려야 합니다.
황엽따기
고무나무재배에서 황엽현상이 나타나는데 그 원인은 병충해나 물관리가 부당하거나 자연로화하는데 있습니다. 병충해와 관련해서는 다음에 말하기로 하고 자연적인 로화로 황엽이 생겼다면 제때에 제거해야 합니다. 이런 잎이 붙어있으면 관상효과에 영향줄뿐더러 병충해를 야기시킬수 있으므로 꼭 제거해야 하며 제거할 때 고무나무 눈을 다쳐서는 안됩니다.
순따기와 다듬기
고무나무는 생장과정에 비교적 완벽한 모양새를 가져야 합니다. 그 모양새를 보면 키 1-2메터에 부동한 방향으로 뻗은 가지가 서너개 뻗었습니다. 이런 모양새를 만들려면 생장과정에 잘 다듬어야 합니다. 다듬기에는 순따기와 전지가 있습니다. 유묘기가 지나 순을 따면 고무나무는 아지가 서너개 칩니다. 가지가 적은감이 나면 순을 한번 더 따면 새로운 가지가 나오면서 풍만하고 빠진데 없는 모양새가 됩니다.
고무나무는 빨리 자라기에 다듬기를 잘해놓아도 크면서 변화가 생깁니다. 하기에 해마다 화분통을 바꿀 때 한번씩 다듬어서 가지의 분포상태를 조절해주면 역시 보기좋은 모양새를 가집니다. 순을 따거나 전지를 하면 상처에 흰즙이 나옵니다. 이럴 땐 상처에 흙을 발라주면 됩니다.
2.번식
삽식
삽식법으로 번식하면 조작이 간단하고 사릅률이 높고 빨리 자라는 우점이 있습니다. 조건이 허락되면 삽식할수 있습니다. 삽식하기전에 먼저 흙을 준비하는데 흙은 전원토에 잎이 썩은 흙 그리고 강모래를 5:2:1의 비례로 섞습니다.먼저 전원토, 잎썩은 흙과 강모래를 고루 섞습니다. 토양속의 벌레알과 세균을 죽이려면 섞을 때 소독하는데 2%의 포르말린용액을 흙에 살포합니다. 소독할 때 흙을 번져주어 소독액이 고루 침투되게 합니다. 처리된 흙은 2일간 말리웠다가 사용합니다.
삽식하기전에 화분통밑굽에 돌을 받친후 흙을 넣는데 너무 많이 넣지 말고 아구리에서 2센치메터 떨어지게 넣고는 물을 흠뻑 줍니다. 물이 빠지면 삽식합니다. 삽식시간은 5월부터 9월까지가 적기인데 온도가 15도이상이면 할수 있습니다. 봄철삽식은 해거리생을 쓰는데 튼실한 가지의 상부와 하부를 삽목으로 합니다.가을철에는 당해의 튼실한 가지를 삽목으로 합니다.
가위로 삽목감을 자르면 유백색 즙이 흐르는데 너무 흐르는것을 막자면 풀을 바르면 됩니다. 삽목선택표준은 매 삽목마다 눈이 3개는 있어야 합니다. 삽목을 선택한후 초리부분의 삽목은 하부의 모든 잎을 따고 웃잎도 절반 남깁니다. 중하부의 삽목은 잎을 전부 땁니다. 준비가 끝나면 삽목을 화분에 꽂습니다. 깊이는 삽목의 3분의 1쯤입니다. 자른 부분의 즙액이 흐르지 않게 하려면 풀을 바릅니다. 삽식이 끝나면 화분의 습도를 보장해야 하며 건조하면 제때에 물을 줍니다. 보통 삽식해서 30일이면 뿌리가 생깁니다.
생가지번식법
생가지번식은 여름철에 튼실한 2년생 가지를 선택한후 적당한 부위를 1센치메터 너비로 껍질을 다 벗깁니다. 연후에 그 부위에 이긴 흙을 바르고 비닐박막으로 쌉니다. 이러면 습기의 증발을 막습니다. 나중에 이긴 흙으로 벗긴 부위를 화분통에 묻습니다. 보통 두달이면 뿌리가 돋습니다. 뿌리가 돋으면 가위로 아래부위를 자란후 새 뿌리와 함께 화분통에서 꺼냅니다. 다시 다른 화분통에 뿌리내린 가지를 넣고 흙을 주고 다지면 됩니다. 연후에 모살이가 잘되도록 물을 흠뻑 줍니다.
3.병충해퇴치
정상적인 배양에서 고무나무는 병충해가 적습니다. 아무런 연고없이 흑반이나 누렇게 말라죽으면 뿌리가 썩는걸로 짐작하십시오. 우선 식물체를 화분통에서 뽑아낸후 썩고 악취가 나는 뿌리가 없는가를 검사합니다. 뿌리가 썩는 원인은 대부분 물이 많거나 비료해를 입은데 있습니다. 무슨 원인이든간에 썩은 뿌리는 다 자르는데 생생해서 백색유즙이 배이는데 까지 잘라버립니다. 감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른 부위에 류황분말을 발라 소독합니다. 소독한후 새 화분통에 새 흙으로 바꿈니다.
먼저 새 화분통에 흙을 좀 넣고 뿌리를 자른 고무나무를 화분통 중간에 놓고 새 흙을 넣습니다. 썩은 뿌리를 잘라버린 고무나무는 흡수력이 저하되였으므로 절반가량의 잎을 잘라버려 수분증발을 줄입니다.
고무나무에 발생하는 병해는 엽반병이고 충해는 개갑충입니다. 엽반병이 생기면 잎사귀에 드문드문 흑색, 회색 갈색과 회백색 병반이 생겨 관상가치에 큰 손상을 줍니다. 엽반병을 퇴치하자면 50%카벤다짐 800배액 또는 75%클로르탈로닐 800배액 또는 50%캡탄 500배액을 분사합니다.
이런 병해가 발병하면 치료효과가 그닥잖기에 예방을 잘해야 합니다.예방하는 방법은 15일마다 식물체에 70%티오파네이트메틸 800배액을 한번씩 분사합니다.
그밖에 생강즙으로 퇴치할수 있는데 생강을 썰어서 짓쪼은다음 200배의 물에 5시간 불구었다가 그 물을 분무기에 넣어서 분무하면 됩니다. 개각충은 고무나무를 해치는 주요 충해의 하니입니다. 개각충은 고무나무잎에 붙어서 잎을 흡식하는데 이러면 잎이 노래지고 감겨들며 지어 기형이 생깁니다. 한것은 개각충의 등에는 밀랍층이 있기때문입니다.
성충은 약물퇴치가 잘 안되므로 유충부화기에 약물퇴치를 해야 합니다. 충해를 발견하면 80%티클로르보스유유1000배액이거나 아청령 1000배액을 유충기에 분사하여 퇴치해야 합니다.
4.관리요점
고무나무는 관리가 비교적 간단하지만 필경 열대식물인만큼 따뜻하고 습윤한 기후를 좋아하고 생장온도에 대한 요구도 엄격하기에 관리에서 일부 요점을 장악해야 합니다.
온도관리
고무나무는 원산지가 인도이며 생장에 적합한 온도는 20-25도입니다. 생장환경온도가 너무 낮으면 자라지 않거나 잎이 떨어지고 황엽이 생기며 지어 죽기까지 합니다. 온도가 너무 높으면 자라지 않거나 황엽이 생깁니다. 때문에 온도가 너무 높으면 고무나무를 실내에 옮겨 그늘에서 자래워야 합니다. 겨울온도가 너무 낮으면 온실에 나래를 덮어 보온해야 합니다.
물주기
고무나무는 습한것을 좋아하지만 침수나 가뭄을 꺼립니다. 봄가을 가뭄계절에는 화분통의 습윤을 확보하면서 잎파리와 식물체주위에 물을 분사하여 생장환경의 습도를 증가해야 합니다. 겨울철에는 기온이 낮기에 흡수량과 증발량이 적은바 화분통이 마르지 않으면 됩니다. 물을 많이 줘서 침수현상이 초래되여 뿌리가 썩는 일이 있어서는 안됩니다. 하지만 너무 말라도 안됩니다. 겨울철에 고무나무는 물이 아주 결핍하면 잎이 떨어집니다.
시비
고무나무는 빨리 자라기에 비료수요량도 많습니다. 하지만 생장기에 질소비료를 너무 많이 주면 그루와 잎사이거리가 늘어나 나무 모양새가 곱지 않습니다. 때문에 생장과정에 린산칼륨이나 화다다 등 복합비료를 주면 좋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